화학분석기사 play

2022년도 제 1회 화학분석기사 필기_농도 계산

badcookie 2022. 3. 26. 09:00

 

 

 

[제 1과목 : 화학 분석 과정 정리]

 

문제] 시판되는 염산 수용액의 정보가 아래와 같을 때, 염산 수용액의 농도(M)는?  (단, HCl의 분자량은 36.5 g/mol이다.)          (2022년 1회)

 

· 밀도: 1.19 g/cm3

· 용질의 질량 퍼센트: 38%

 

① 12.39       ② 0.01239        ③ 32.60        ④ 0.03260

 

 

 

풀이) 정답은 태그에 ;)

 

몰농도(M) = 용질의 몰 수(mol) / 용액의 부피(L)

 

38% HCl 용액이 100g 있다고 가정했을 때, 100 g HCl 용액 = 38 g HCl + 62 g 물

이때 HCl의 mol수 = 38 g / (36.5 g/mol) = 1.0411 mol HCl

용액의 L수 = 100 g / (1.19 g/cm3) = 84.0336 cm3 = 84.0336 mL = 0.0840 L

 

 

 

[ 농도의 종류와 계산 방법 ]

 

몰농도(Molarity, M): 용액 1 리터 속에 녹아 있는 용질의 양을 몰수로 나타낸 농도 (mol/L)

몰농도(M) = 용질의 몰 수(mol) / 용액의 부피(L)

 

몰랄농도(Molality, m): 용매 1kg에 녹아 있는 용질의 양을 몰수로 나타낸 농도(mol/kg)

몰농도(m) = 용질의 몰 수(mol) / 용매의 질량(kg)            (몰랄농도만 분모에 용매 !!)

 

노르말농도(Normality, N): 용액 1리터 속에 녹아 있는 용질의 g당량수

노르말농도(N) = 용질의 당량(eq) / 용액의 부피(L)          (당량: 화학반응에 참여하는 작용기의 갯수)

 

퍼센트농도(Percent concentration): 용액 100g속에 녹아 있는 용질의 g수

퍼센트농도(%) = 용질의 질량(g) / 용액의 질량(g) × 100